[김대호의 경제읽기] 배달 증가에도 수익 하락…"수수료 30%"<br /><br /><br />코로나19는 사회문화에 전방위로 영향을 미쳤지만 특히 배달시장을 급성장시켰는데요.<br /><br />배달앱을 통한 음식주문은 늘었지만 정작 소상공인들은 수익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배달앱 수수료 체계 짚어보겠습니다<br /><br />현대자동차가 중고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습니다.<br /><br />중고차업계는 "대규모 실업"이 일어날거라 반발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국감에서 현대차가 중고차 판매에 대해 말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지적이 나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 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오늘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1단계로 완화됐습니다. 1단계 햐향 조정 요건은 갖추진 못했지만 신음하는 서민 경제를 두고만 볼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었는데요. 정부의 조치,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코로나19는 사회문화에 전방위로 영향을 미쳤지만 특히 배달시장을 급성장시키기도 했는데요. 그런데 배달앱을 통한 음식주문은 늘었지만 정작 소상공인들은 수익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. 원인으로 배달 수수료가 지목됐는데 현재 수수료체계가 어떻기에 그런건가요?<br /><br /> 음식값의 30%가 수수료나 배달비로 나간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? 배달앱을 이용하기 전과 이후, 소상공인의 수익은 얼마나 달라졌는지도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배달앱 플랫폼인 배달의민족을 비롯해 요기요, 배달통의 딜리버리 히어로의 시장점유율이 90%를 웃돌면서 양사 합병에 대한 시장 독과점과 수수료 인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해당 업체는 생필품 배달 사업에도 뛰어들며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문제가 더욱 주목되고 있는데요.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현대차가 중고차 판매업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. 국내 완성차 업체가 공식적으로 중고차 시장에 뛰어들겠다고 한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중고차 업계는 대규모 실업이 현실화 될거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데요. 실제로 대기업이 중고차 시장에 진출하게 됐을 때 소비자의 득실은 어떠할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중고차 시장 진출 계획을 공식화한 현대차가 국정감사에서 "모든 제조사가 중고차도 판다"고 발언해 사실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현재 해외 주요국에서도 제조사가 중고차를 팔고 있나요?<br /><br /> 결정권을 쥐고 있는 중기부는 현대차에 추가 상생 방안을 제출하라고 한 상태인데요. 어떤 방안이 마련되어야한다 보시나요? 또 향후 중고차 시장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